예산군 귀농귀촌 & 청년 귀농 지원금 신청절차


최대 3억 창업자금, 최대 7,500만 원 주택자금, 월 최대 100만 원 정착지원금 제공
예산군은 농업 기반이 탄탄하고, 청년 창농 지원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지역입니다.








예산군 귀농귀촌 지원 정책 (2025년 기준)




1) 농업 창업 자금

- 최대 3억 원 저리 융자 (연 2%, 5년 거치 15년 분할 상환)
- 농지 구입, 시설 설치, 가축 구입, 기계 장비 구입 등 사용 가능
- 주의: 임차 농지 중심 계획은 심사에서 불리할 수 있음


2) 주택 구입 및 신축 자금

- 최대 7,500만 원 융자 지원
- 구입, 신축, 리모델링 모두 가능
- 실거주 요건 충족 + 등기 기준 확인 필요


3) 귀농 정착 지원금 (예산군 자체 지원)

- 연 최대 1,200만 원 차등 지급
- 실제 영농 실적과 정착 평가 후 지급
- 주의: 목적 외 사용 시 전액 환수될 수 있음


4) 농지 확보 지원

-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은행 장기임대 프로그램 연계
- 초보 귀농인 및 청년 우선 배정
- 주의: 경작 불이행 시 계약 해지 가능


5) 농업 교육 지원

- 예산군 농업기술센터 교육 전면 무료 운영
- 기초영농, 디지털농업, 친환경 기술 중심
- 수료증 제출 필수 / 일부 자격과정은 유료 운영


2025년 귀농 정책 주요 변경사항


항목2024년 기준2025년 변경 내용
창업자금 상환5년 거치 10년 상환15년 상환으로 연장
주택자금 금리연 2.0%연 1.5% 고정금리 인하
교육 수강 방식오프라인 전면온라인 병행 수강 허용
신청 가능 연령만 65세 이하변동 없음


예산군 청년 귀농 지원제도 (만 18~45세)




1) 청년 정착 지원금

- 월 최대 100만 원 × 최대 3년 = 최대 3,600만 원
- 귀농 활동 실적 기반 월별 평가
- 주의: 농업 외 수입이 크면 지원 중단 및 환수 가능


2) 청년 창업 보조금

- 최대 2,000만 원 지급
- 농기계, 생산 자재, 포장재, 마케팅 비용 사용 가능
- 정산 결과보고 의무화


3) 청년 창업 자금 융자

- 최대 3억 원, 정부 보증 저금리 적용
- 하우스, 스마트팜, 축사 등 장기 자산 투자 목적
- 수익성·현실성 높은 사업계획서 필요


4) 주택 자금 지원

- 최대 7,500만 원 저금리 융자
- 실거주 요건, 건축 승인서 등 필수 서류 요구


5) 교육 이수 요건

- 100시간 이상 교육 수료 필수
- 온라인 + 오프라인 병행 수강 가능
- 수료증 미제출 시 신청 불가


6) 청년 멘토링 프로그램

- 예산군 농기센터 주관 1:1 현장 맞춤형 멘토링
- 작목 선택, 수익 모델, 시장 개척 지도
- 활동일지와 결과보고서 필수


2025년 청년 귀농 제도 주요 변경사항





항목2024년2025년 변경 내용
정착 지원금월 최대 80만 원월 최대 100만 원으로 상향
대상 연령만 18~39세만 18~45세로 확대
창업 보조금최대 1,000만 원최대 2,000만 원으로 인상
교육 수료오프라인 100시간온라인 병행 허용
멘토링선택형의무 운영 + 기록 제출 필수



귀농 실패 줄이는 팁

- 교육은 자금 신청 전 반드시 완료하세요
- 농지 확보는 사업계획 이전에 우선 진행하세요
- 수익 모델과 판로는 사업계획서에 구체적으로 기재하세요
- 중복 수혜 확인은 필수입니다
- 자금 유용 시 환수 및 법적 조치 가능성 존재


예산 귀농 신청 절차 요약


단계신청 방법참고 사항
정책 확인예산군청 또는 농업기술센터 사이트최신 공고 확인 필수
상담 예약전화 또는 방문 예약귀농 전담부서와 사전 상담
교육 이수오프라인/온라인 병행100시간 이상, 수료증 필수
신청서 접수오프라인 접수서류 원본 제출, 누락 시 탈락 가능



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