도시를 떠나 전원생활을 꿈꾸는 이들에게 귀농은 매력적인 선택이 될 수
있습니다. 하지만 충분한 정보와 제도 이해를 바탕으로 접근해야 ‘성공하는
귀농’을 할 수 있습니다. 홍성군은 충남에서도 귀농 유입이 많은 지역 중 하나로,
제도적 지원이 잘 갖춰진 편입니다. 홍성군 귀농귀촌 제도에 대해서
알려드리겠습니다.
홍성군 귀농귀촌 지원금
-
농업 창업 자금
- 최대 3억 원 융자
- 연 2% 고정금리, 5년 거치 10년 상환
- 온실, 농기계, 가축 구입 등에 사용 가능
- 주의: 농지 확보 필수, 임차농지 제한 있음
-
주택 구입 및 신축 자금
- 최대 7,500만 원 융자
- 신축, 구입, 리모델링 가능
- 주의: 실거주 조건, 등기 요건 충족 필수
-
귀농 정착 지원금 (홍성군 자체)
- 연 최대 1,200만 원 차등 지원
- 정착 실적 및 계획 평가 기준
- 주의: 목적 외 사용 시 환수 가능
-
농지 확보 지원
- 농지은행 연계 장기임대 가능
- 초보 및 청년 농업인 우선 배정
- 주의: 경작 불이행 시 계약 해지
-
농업 교육 지원
- 홍성군 농업기술센터 운영
- 기초영농, 유기농, 스마트팜 과정 포함
- 주의: 수료증 제출 필수, 일부 유료 과정 있음
2025년 귀농 제도 주요 변경사항
항목 | 2024년 기준 | 2025년 변경 내용 |
---|---|---|
창업자금 상환 | 5년 거치 10년 상환 | 5년 거치 15년 상환 |
주택자금 금리 | 연 2.0% | 연 1.5% 고정금리 |
교육 방식 | 오프라인 중심 | 온라인 병행 허용 |
홍성군 청년 귀농 지원금 (만 18~45세)
-
청년 정착 지원금
- 월 최대 100만 원 × 3년 (총 3,600만 원)
- 주의: 농업 외 활동 과다 시 환수 가능 -
청년 창업 보조금
- 최대 2,000만 원 보조금
- 설비, 포장재, 판매장비 등 지원
- 주의: 사용 내역 철저 정산 필수 -
청년 창업 자금 융자
- 최대 3억 원 저리 융자
- 기계, 온실, 가축시설 등 사용 가능
- 주의: 사업계획 수익성 및 지속성 검토 -
주택 자금 지원
- 최대 7,500만 원 저리 융자
- 실거주 조건, 건축·등기 요건 필요 -
100시간 이상 교육 이수
- 온라인+오프라인 수강 가능
- 주의: 수료증 미제출 시 신청 불가 -
청년 멘토링 프로그램
- 1:1 영농 멘토링 운영
- 재배기술, 판로 개척 등 지도
- 주의: 활동기록 보고서 제출 필요
2025년 청년 귀농 제도 변경사항
항목 | 2024년 기준 | 2025년 변경 내용 |
---|---|---|
정착 지원금 | 월 최대 80만 원 | 월 최대 100만 원 |
대상 연령 | 만 18~39세 | 만 18~45세 |
창업 보조금 | 최대 1,000만 원 | 최대 2,000만 원 |
멘토링 프로그램 | 선택형 | 필수화 및 결과보고 |
귀농 실패 방지를 위한 팁
- 교육 수료는 사전 완료해야 신청 가능
- 농지 확보는 창업 자금 신청 전에 준비
- 사업계획은 수익모델·시장성 중심 작성
- 타 지역 지원금 중복 여부 꼭 확인
- 지원금은 목적 외 사용 시 환수될 수 있음
신청 절차 요약
단계 | 신청 방법 | 참고 사항 |
---|---|---|
정책 정보 확인 | 홍성군청 또는 농업기술센터 | 최신 공고 확인 필수 |
상담 예약 | 방문 또는 전화 | 귀농귀촌 담당자 연결 |
교육 수료 | 온라인+오프라인 병행 | 수료증 제출 필수 |
신청서 제출 | 오프라인 방문 접수 | 원본 서류 지참 |
Tags:
money ru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