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현재 보령시는 최대 3억 원 창업자금, 최대 7,500만 원 주택자금, 월 최대 100만 원 정착지원금 등 실질적 재정 혜택을 제공합니다.
보령시 귀농귀촌 지원 정책 (2025년 기준)
1) 농업 창업 자금
- 최대 3억 원 저금리 융자 (연 2%, 5년 거치 15년 분할 상환)
- 농지 구입, 시설 설치, 농기계 및 가축 구입 가능
- ※ 임차 농지 중심일 경우 심사 감점 가능
2) 주택 구입 및 신축 자금
- 최대 7,500만 원 저리 융자
- 신축, 구입, 리모델링 모두 가능
- 실거주 조건 충족 및 건축물대장 등기 필요
3) 귀농 정착 지원금 (보령시 자체)
- 연 최대 1,200만 원 차등 지급
- 정착 실적 및 사업계획서 평가 기반 지급
- ※ 사업 외 용도 사용 시 환수 조치
4) 농지 확보 지원
- 농지은행(한국농어촌공사) 장기 임대 연계
- 청년·초보 귀농인 우선 배정
- 경작 불이행 시 계약 해지 가능
5) 농업 교육 지원
- 보령 농업기술센터 무료 교육 과정 운영
- 스마트농업, 친환경 영농, 기초영농 등
- 수료증 제출 필수 / 일부 과정은 유료
2025년 귀농 정책 주요 변경사항
보령시 청년 귀농 지원 제도 (만 18~45세)
1) 청년 정착 지원금
- 월 최대 100만 원 × 최대 3년 = 최대 3,600만 원
- 영농 실적 기준으로 차등 지급
- ※ 농업 외 수익 많으면 중단 또는 환수
2) 청년 창업 보조금
- 최대 2,000만 원 보조
- 자재, 농기계, 포장재, 마케팅 비용 지원
- 정산 기준 철저히 적용됨
3) 청년 창업 자금 융자
- 최대 3억 원, 정부 보증 저금리 적용
- 스마트팜, 비닐하우스, 가축 시설 등 자산 취득 가능
- 수익성·실현 가능성 중심 사업계획서 요구
4) 주택 자금 지원
- 최대 7,500만 원 저금리 융자
- 실거주 요건, 건축 승인 조건 필수
- 등기 서류 미비 시 불가
5) 교육 이수 요건
- 100시간 이상 필수
- 온라인과 오프라인 병행 가능
- 수료증 미제출 시 지원 불가
6) 청년 멘토링 프로그램
- 보령 농기센터 주관 1:1 실무 중심 멘토링
- 재배 기술, 창업 모델, 유통 전략 지도
- 활동일지·멘토링 보고서 제출 필수
2025년 청년 귀농 제도 주요 변경사항
귀농 실패 방지를 위한 팁
- 교육 수료는 반드시 신청 전에 완료
- 농지 확보는 창업자금 신청 전에 준비
- 사업계획서는 수익 모델과 유통 전략까지 구체화
- 중복 수혜 여부 반드시 사전 확인
- 자금은 용도 외 사용 시 환수될 수 있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