충주시(충청북도)는 중부내륙의 중심지로, 사과·복숭아·옥수수 등 다양한 고소득 작물에 적합한 지역입니다. 2025년 현재 귀농 및 청년 귀농인을 위한 창업 자금, 주택 자금, 정착금 등 풍부한 제도를 운영 중입니다.
다만, 신청 조건이 까다롭고 서류 준비가 부족하면 지원 탈락 또는 환수
가능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정확히 이해하고 준비해야 합니다.
충주시 귀농귀촌 지원금
지원 항목 | 세부 내용 |
---|---|
창업 자금 | 최대 3억 원 정부 융자 (농기계, 축사, 온실 등 포함, 연 1.5% 고정금리, 5년 거치 15년 상환) |
주택 자금 | 최대 7,500만 원 (구입, 신축, 리모델링 가능 / 연 1.5% 고정금리 융자) |
정착 지원금 | 충주시 자체 지급 / 최대 연 1,000만 원 (일시금 또는 분할) |
농지 지원 | 한국농어촌공사 농지은행 연계 / 임대 및 구입 지원, 우선 배정 가능 |
농업 교육 지원 | 충주시 농업기술센터에서 영농기초·마케팅·기계 교육 제공 (일부 과정 온라인 수강 가능) |
충주시 청년 귀농 지원금
지원 항목 | 세부 내용 |
---|---|
정착 지원금 | 월 최대 100만 원, 최대 3년간 지급 (현금 보조, 사업계획 충족 시 지속 가능) |
청년 창업 보조금 | 최대 2,000만 원 (시설 보완, 초기 운영자금 등 / 일부는 정산형) |
창업 자금 | 최대 3억 원 정부 융자 (가축, 온실, 스마트팜 등 가능) |
주택 자금 | 최대 7,500만 원 저리 융자 |
교육 요건 | 영농 교육 총 100시간 이상 필수 (충주시 지정 기관 또는 위탁교육 포함) |
멘토링 프로그램 | 선배 귀농인과 1:1 매칭 / 현장 컨설팅 필수 + 활동 보고서 제출 |
주의사항
- 모든 신청은 충주시 농업기술센터 방문 접수만 가능 (우편 및 온라인 불가)
- 창업자금 및 정착자금은 선정 후에도 중도 환수 사례 있음 (거주 불이행, 사업계획 미이행 등)
- 교육 수료증, 농지확보계약서, 농지이용계획서 등 필수 제출 서류는 미리 준비
- 중복지원 대상 여부 사전 조회 필수 (타 지자체 또는 정부사업과 중복 시 환수 가능)
충주 지역 특성
- 충주는 과수 중심 고소득 작물 재배가 유리하며, 시설농업도 병행 가능
- 충주호 등 청정 자연환경과 함께 귀농 생활 인프라 우수
- 농산물 유통 및 직거래망 구축 프로그램 운영으로 판매채널 확보 용이
Tags:
money rule