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존의 청약통장을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전환하는 방법과 그 혜택에 대해 잘 모르는 분들이 많습니다. 내용을 보시고 나에게 맞는 전환은 어떻게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.
1. 전환 가능 상품
✅ 청약 예금: 민영주택 분양에 청약 가능
✅ 청약 부금: 85제곱미터 이하 민영주택 분양에 청약 가능
✅ 청약 저축: 국민주택 분양에 청약 가능
2. 주택청약종합 저축 전환 방법
은행 방문: 신분증을 지참하고 기존 청약통장을 개설한 은행 지점에 방문하여 전환 신청
온라인 신청: 해당 은행의 인터넷 뱅킹 또는 모바일 앱을 통해 전환 신청 가능
3. 전환 절차
은행 방문 시: 은행 직원의 안내에 따라 신청서 작성 및 제출
온라인 신청 시: 공동인증서, 금융인증서 등을 이용해 로그인 후 전환 신청
4. 전환 후 혜택
✅ 모든 주택 유형 청약 가능: 민영주택, 공공주택 모두 청약 가능
✅ 높은 금리: 기존 청약통장보다 높은 금리 적용 (최대 3.1%)
✅ 소득공제 혜택: 연간 최대 300만원까지 소득공제 가능
✅ 배우자 통장 보유기간 합산: 배우자와 통장 보유기간을 합산하여 청약 점수 상승
5. 주택청약 전환 하기전 유의사항
전환 후 신규 납입분부터 실적 인정 타행 전환은 2024년 11월 1일부터 가능
🟩 주택청약종합저축 전환의 장점
민영주택과 공공주택 모두 청약할 수 있어 청약 기회가 확대됩니다.
기존 청약통장보다 높은 금리가 적용됩니다. 최대 3.1%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연간 최대 300만원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 세금 절감 효과가 있습니다.
배우자와 통장 보유기간을 합산하여 청약 점수를 높일 수 있습니다.
월 납입 인정액이 기존 10만원에서 25만원으로 상향되어 더 많은 금액을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
🟩 주택청약종합저축 전환의 단점
한 번 전환하면 다시 원래의 상품으로 되돌릴 수 없습니다.
전환 후에는 기존 납입금액과 납입기간은 인정되지만, 확대된 청약 가능 주택 유형은 전환 후 신규 납입분부터 실적이 인정됩니다.
타행 전환은 2024년 11월 1일부터 가능하므로, 그 전에는 기존 은행에서만 전환이 가능합니다.